본문 바로가기

나의 일상, 생활정보공유,게임

2023년 바뀌는 것들 (만나이,유통기한,교통법규등)

 

2023년 새해가 밝아 오면서 올 들어 바뀌는 것들에 대하여 궁금해하시고,

잘못된 정보로 오해하고 있는 (저 포함..) 부분들이 많아 오늘은

2023년 바뀌는 것들에 대해 포스팅해 보려 합니다. 

혹시라도 제가 잘못 알고 있거나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다시 확인하여 수정하도록 하겠습니다^^

2023년 바뀌는 것들 중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의문점을 가지고 계신 것이

"만 나이"라고 생각돼서 그 부분에 대해 가장 먼저 설명드려 보겠습니다. 

 

1. 만 나이 - 2023년 6월부터 적용 

- 이 부분은 올 6월부터 적용되어, 기존의 우리나라식 나이에서 1살 또는 2살씩 어려(?) 지게 됩니다.

계산 방법은 생일이 지났으면 -1살, 생일이 안 지났으면 -2살을 적용하는 것인데요. 

이렇게 하다 보면 군문제나 학교 입학 문제 등의 혼란이 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건데요.. (저도 그랬습니다.)

그래서 확인해 보니 위 계산 방법대로 계산하여서 올 6월부터는 적용하면 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연 나이 기준으로 하는 청소년보호법, 병역법 등 52개 법률은 그대로 운영하기에 

군대나 학교 입학, 술, 담배 구입 나이 등은 기존과 같아 거의 변경된 게 없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 유통기한 표기 변경 ( 소비기한으로 변경)

- 낭비되는 음식들로 인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시행된다는 소비기한,

소비기한은 유통기한과 부패 기간 사이의 기간을 이야기하는 것으로 

각 식품에 보관방법을 잘 지켰을 때 음식을 섭취해도 문제가 안되는 기간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은데요

이제 이렇게 모든 음식을 변경한다 하여 우유는 지금보다 45일, 두부는 90일, 계란 25일, 라면 8개월 등 

지금보다 섭취할 수 있는 기간이 늘어난다는 내용인데요.

알려진 것으로는 올부터 모든 식품에 적용된다고 하였으나, 계도 기간이 1년간 부여되어 

내년부터 시행된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고,

우유의 경우 우리나라 냉장 평균 온도가 외국보다 낮아 2031년까지 보류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사실 좀 찜찜하네요. 보관을 정말 잘해야 되는 것인데

그 보관이 잘 될까 하는 의문도 들고요.. 아무튼 올해 당장 전부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니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우회전 신호등 설치 

- 2022년 한 해 운전자들에게 많은 혼란과 이슈가 되었던 우회전, 이제 신호등을 무조건 설치하여 

빨간 불인 경우에는 일단정지 후 출발해야 된다는 머 엄청나게 복잡한 내용이 또 한 번 이슈가 되었는데요. 

내용을 살펴보니 2023년부터 무조건 의무는 아니고, 현재는 시범운영 중인 곳이 있으며, 

다른 곳들은 1년간 우회전 사고 3회 이상 발생 시 지방자치 쟁의 판단하에 설치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팩트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내용은 그냥 설치된 곳이 있으면 잘 지켜서 안전운행하면 될 것 같습니다.

 

4. 자동차 스티커 부착 금지

- 2023년부터는 자동차에 스티커 부착 금지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자면 초보운전, 아이가 타고 있어요 .. 이런 스티커입니다.

이런 스티커들이 혐오를 주거나 혼란을 주고 난해한 내용이 많아 전체를 금지하였고,

대신에 초보운전, 고령운전, 임산부, 장애인, 유아동승 운자들에게는 무상으로 통일된 스티커를 

교부예정이며, 스티커 부착 차량의 경우에는 주차요금 감면 등의 혜택도 줄 예정이라고 하니

해당되시는 분들은 참고하셔서 확인해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5. 비상제어장치 의무화 

- 2023년 1월 모델부터는 의무적으로 비상 자동제어장치가 적용되어

자동차가 나온다고 합니다.

사실 이 비상제어장치가 논란이 조금 있긴 한데요.

저 같은 경우에는 이 비상제어장치 덕분에 2번 정도 사고를 막을 수 있어서 굉장히 좋은 장치라 생각하는데 

가끔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어찌 되었던 전에는 자동차 옵션으로 들어가 있거나 고가 차량 등에만 있었던 비상제어장치가

이제는 모든 차량에 적용된다고 하니 이로 인해 사고가 많이 줄어들길 기대해 봅니다.

 

6. 무통장 입금 최대 금액 변경 

- 보이스피싱 피해를 줄이기 위해 무통장 입금 최대 금액을 변경한다고 합니다. 

이전 최대 100만 원 입금 가능하던 것을 최대 50만 원으로 줄이고, 

무통장 입금으로 받을 수 있는 금액도 무제한에서 하루 최대 300만 원으로 변경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수수료도 더 많이 내야 될 건데, 그래도 보이스 피싱 피해를 막기 위한 것이니 

감수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사실 요즘 무통장입금으로 저렇게 많은 돈을 입금할 일이 거의 없긴 해서..

이런 변경 사항으로 보이스 피해가 많이 줄었으면 좋겠네요!

 

7. 통합 정기 승차권

- 시내버스, 지하철 환승도 가능한 통합 정기 승차권이 2023년 하반기 생길 예정이라고 합니다. 

30일간 총 60회까지 버스, 지하철 환승이 가능하여

대중교통 이용 시 일부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기대된다고 하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에게는 희소식이 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2023년 바뀌는 것들 (변경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사실 우리 삶을 크게 변경할 내용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이제 만 나이로 인해 적어도 몇 살이니라고 물어봤을 때 띠까지 이야기하는 그런 일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되네요.